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

덤프버전 :




파일:ChollimaLine_icon.svg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
平壤 地下鐵道 千里馬線
Pyongyang Subway Chollima Line
||
파일:external/www.iusm.co.kr/623108_224422_5410.jpg


평양 지하철도 전동차
노선도
[ 펼치기 · 접기 ]
파일:평양 지하철도 천리마(만경대)선 로선도.svg
노선 정보
분류도시철도
기점붉은별역
종점부흥역
역 수8개
구성 노선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
평양 지하철도 만경대선
상징색
붉은색 (#ED1C27)
개업일1973년 9월 6일
소유자평양시 인민위원회
운영자평양지하철도관리국
사용차량평양 지하철도 전동차
차량기지붉은별차량수리공장[임의명칭]
노선 제원
노선연장약 20㎞
궤간1,435㎜
선로구성복선
사용전류직류 825V 제3궤조집전식
신호방식ATS [1]
최고속도미상
표정속도40㎞/h
지상구간없음
통행방향우측통행
개통연혁1973. 09. 26. 붉은별봉화
1987. 04. 10. 봉화부흥
개통예정미정. 붉은별서포, 부흥만경대

1. 개요
2. 운행 중인 구간
3. 연장 예정 구간



1. 개요[편집]


평양시 중구역봉화역평양시 대성구역붉은별역을 잇는 평양 지하철 노선. 후에 만경대선이 직결되어 있다.

1973년 9월 6일, 봉화역-붉은별 구간이 개통되었다. 이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의 개통보다 약 11개월 빠른 것으로, 한반도 전역을 통틀어 최초로 설치된 지하철 노선이다.

궤간은 1,435mm 표준궤를 쓴다. 쓸데없이 깊게 파놔서 지상에서 승강장까지 내려오는데 시간이 꽤 소요되고 그로 인해 계단 대신 상당히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.


2. 운행 중인 구간[편집]


편의상 만경대선의 역도 같이 기재했다.[2]

역명환승노선소재지
0.0붉은별紅 星대성구역
전 우戰 友 혁신선 전승역모란봉구역
개 선凱 旋
통 일統 一중구역
승 리勝 利
봉 화烽 火
영 광榮 光 트램 1호선[3]
평의선·평부선·평남선
평양역[4]
20.0부 흥復 興 트램 3호선[5]평천구역


3. 연장 예정 구간[편집]



3.1. 천리마선 연장[편집]




3.2. 만경대선 연장[편집]


청 춘靑 春
만경대萬 景 臺 트램 1호선[6]



[임의명칭] 정식 명칭이 확인되지 않아 평의선을 운행하는 열차의 정비를 담당하는 차량기지인 '평양차량수리공장'의 명칭을 참고하여 임의로 붙인 명칭이다.[1] 노선 개통 당시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ATS로 개통했을것이며 이는 1년 후 개통한 1호선(종로선)도 동일하다. 또한 자금문제로 인해 굳이 멀쩡한 신호체계를 개량시키진 않았을것으로 추정된다.[2] 봉화역 이후의 역, 즉 영광역부흥역은 만경대선 소속이다.[3] 간접환승[4] 간접환승[5] 간접환승[6] 간접환승